참고 주소 :

 - Firebase console : https://console.firebase.google.com

 - IOS Certificates : https://developer.apple.com/account/ios/



아! 피곤...

오늘 하루도 열심히 달리다가

집에서 육아까지.. 열심히 하자!!



2018/11/13 - [[ 자기개발 ]/개발에 필요한 정보 정리] - [Firebase] IOS APNS 파이어베이스 연동 - (1)

에서 해왔던 이어나가보자.



그 다음으로 해야할 것은 developer account cetificate 에 Apns 인증키를 만드는 것이다.

이번글은 Apns 인증키 만들기에 대한 설명이다.



개발자 등록은 하셨을 것이고.

개발자 등록을 하셨으면 인증서 등록을 하셨을 것이고.

인증서 등록을 하셨으면 AppIDs도 만들어 보셨을 거라 생각하고 작성해보자.


- 추후 개발자 등록 & 인증서 등록 & AppIDs 만드는 것도 한번 작성해보자.



머라 할것도 없이 아주 간단하다.


1. 먼저 IOS Certificates 화면으로 이동 후 왼쪽 사이드 부분에 Keys -> All 이 존재한다. 클릭!

   그 뒤 오른쪽 상단에 + 부분이 보이면 클릭!



2. 인증 키 이름을 적기 (신중할 필요는 없음)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APNs) 필수로 체크




- 여기서 부터가 중요하다 ! -


3.  아래 이미지에 보이는 빨간색 부분을 잘 참고하기 바란다.

 한번더 설명 해주자면 KeyID 는 FCM 에 등록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외워두고 따로 적어놓자.

 마지막으로 인증키 다운로드는 1번밖에 안되기 때문에 꼭 백업 하기 바란다




4. 마지막으로 하나더 중요한 부분은 Prefix ID입니다.

Key ID와 같이 Prefix ID도 FCM에 등록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




벌써 끝이다. 우리가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발급받은 인증키 p8, KeyID, PrefixID 이게 끝이다.




예전에는 인증서가 매번 갱신을 해줘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반면에 지금은 이거 하나면 다 되니 이 얼마나 편해졌는지 알 수 있다.










파이어 베이스를 통해 푸시 전송 - (1)



참고 주소 :

 - Firebase console : https://console.firebase.google.com

 - IOS Certificates : https://developer.apple.com/account/ios/



파이어베이스의 도큐먼트에 아주 설명이 잘되어 있다.


그러나 오늘 사소한 문제로 인해 한시간을 해매는 현상을 발생하여 이렇게 적어본다.




1. 순서 ( xCode )

- xCode를 이용해 프로젝트 생성

(Bundle ID는 꼭 외워두기)


- 프로젝트에 pod 설정

(2018/05/23 - [[ 자기개발 ]/개발에 필요한 정보 정리] - [ IOS 팁 ] POD 설치 및 사용)


우리는 푸시를 보내기 위한 것이니

Podfile에 

pod 'Firebase/Core'

pod 'Firebase/Messaging'

넣고 pod update를 해준다.


- 프로젝트(xCode) 설정

(순서대로 하면 끝)


- 프로젝트 AppDelegate에 코딩 작성


AppDelegate.h


@import Firebase;

@import UserNotifications;


@interface AppDelegate : UIResponder <UIApplicationDelegate, UNUserNotificationCenterDelegate, FIRMessageDelegate>



AppDelegate.m


1. application:didFinishLaunchingWithOptions:launchOptions


- (BOOL)application:(UIApplication *)application didFinishLaunchingWithOptions:(NSDictionary *)launchOptions {


}



2. application:didRegisterForRemoteNotificationsWithDeviceToken:


- (void) application:(UIApplication *)application didRegisterForRemoteNotificationsWithDeviceToken:(NSData *)deviceToken {

    [FIRMessaging messaging].APNSToken = deviceToken;

}


3. messaging:didReceiveRegistrationToken:


- (void) messaging:(FIRMessaging *)messaging didReceiveRegistrationToken:(NSString *)fcmToken {

/// FCM 에서 사용하는 PUSH 토큰 ///

   //  fcmToken 을 이용해 푸시를 보내야 한다. ///

}





여기까지가 프로젝트의 설정이 이다.


더 하라고해도 할게 없다.


다음에는 Firebase 설정을 넘어 갈것이며, 이것도 그렇게 어렵지 않다.






라이브러리를 많이 쓰지 않아 최근에 Pod라는걸 알게 되었는데 많이 편한 방법인것같아 소개해줄려고한다.


Git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하다 보면 한번씩 에러가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가 없다거나 인클루드가 안되는 프로젝트들이 많을것이다.

보통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추가 

명령어를 어디에 쳐야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추가해본다.


Finder -> 응용프로그램 -> 유틸리티 -> 터미널


을 실행시키고, 경로를 프로젝트로 설정 후 해당 명령어를 치면 된다.


경로 설정은 cd를 먼저 입력 후 뛰고 해당 경로를 적어주면 끝.


예)

cd usr/destop/finder

-----


기본적인 설명은 넘어가고 명령어만 나열해보자.


: sudo gem install cocoapods

  - (pod 다운로드)


: pod setup

  - (윈도우로 설명하면 pod 실행(설치))


: touch Podfile

  - (Podfile 이라는 pod파일 생성)


: open -e Podfile

  - (Podfile 열기 - 해당 경로에가서 실행해도 열 수 있음)

  - Podfile 열고 아래 문구 작성 후 저장

---------------------------------------------------------------------------

source 'https://github.com/CocoaPods/Specs.git'

platform :ios, '10.0'

 

target 'fcm_test'    <- 프로젝트 이름

---------------------------------------------------------------------------

 

: pod install

: pod update

  - (Podfile에 여러 라이브러리를 넣고 install & update하면 라이브러리들이 설치)



pod를 사용하는데에 이정도의 명령어만 있으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이다.




pod를 설치했는데 삭제하는 방법도 간단하다


: sudo gem install cocoapods-deintegrate cocoapods-clean

: pod deintegrate

: pod clean

: rm Podfile


삭제를 했는데 .plist에 Podfile이 남아 있으면 같이 제거해야한다.










#포드 #POD #간단한라이브러리

+ Recent posts